추천 게시물

bitget 수익률 계산기 v0

비트겟에서 운영 중인 봇의 수익률을 계산하는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 보았다. balance와 position pnl을 바탕으로 수익률을 계산해 준다. 파일은 그래서 2개가 필요하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re import tkinter as tk from tkinter import filedialog, messagebox, ttk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matplotlib.lines import Line2D from matplotlib.text import Text import platform # 운영체제에 따른 폰트 설정 if platform.system() == "Windows" : plt.rcParams[ 'font.family' ] = 'Malgun Gothic' elif platform.system() == "Darwin" : plt.rcParams[ 'font.family' ] = 'AppleGothic' else : plt.rcParams[ 'font.family' ] = 'NanumGothic' plt.rcParams[ 'axes.unicode_minus' ] = False # 전역 변수 : 원본 데이터와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 trade_df_original = None asset_df_original = None processed_data = None # --- 1. 데이터 처리 및 계산 함수들 --- def extract_coin_name (futures_string): if pd.isna(futures_string): return None return futures_string.split()[ 0 ] def extract_number (text): if pd.isna(text): return N...

난카이 대지진이 진도 9.0 규모로 발생한다면 어떤 투자를 해야 할까?

이미지
 2025년 7월 5일, 일본 남부 해역에서 진도 7.0 규모의 난카이 대지진 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있다. 물론 이러한 재난은 절대로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 단순한 소문으로 끝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하지만 우리는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는 지혜를 가질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다. 당시 일본은 진도 9.0의 강진과 쓰나미, 원전 사고까지 겹치며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금융시장도 큰 충격을 받았다. 동일본 대지진에서 얻은 투자 인사이트 대지진 직후의 시장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였다. 증시 급락 → 방어적 반등 재건 수혜 업종의 급등 원전 이슈 → 신재생에너지 테마 부각 환율 변동성 확대 → 안전자산 선호 심화 이러한 흐름은 단지 진도의 크기만으로 결정되기보다는, 사고의 범위, 정책 대응, 사회적 심리 등에 따라 좌우된다. 📌 진도 7.0 난카이 대지진 시, 유력한 투자 포지션 정리 투자 대상 포지션 진입 타이밍 근거 🇯🇵 일본 대형 건설주 (Taisei, Obayashi 등) 롱 (매수) 지진 발생 1~2주 후 정부의 긴급 재건 예산 투입 가능성 🇯🇵 원전 관련주 (도쿄전력 등) 숏 (매도) 지진 발생 즉시 지진에 따른 안전성 우려, 원전 가동 중지 🇯🇵 손해보험사 (Tokio Marine 등) 숏 (매도) 지진 발생 1~2일 내 자연재해 손실금 증가 예상 🇯🇵 편의점·식품 유통 (Seven & I, Lawson 등) 롱 (매수) 지진 발생 3~5일 후 생필품 수요 급증, 물류망 복구 기대 🇯🇵 태양광·신재생에너지 (Kyocera 등) 롱 (매수) 1~2개월 후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 기대 금, 미국채 롱 (매수) 지진 발생 즉시 글로벌 리스크 회피 심리 증가 💡 포인트 요약 짧게는 1일~5일, 길게는 2개월 안에 기회가 분산되어 존재한다. 자연재해는 단기 충격 과 중장기 재건...

AWS EC2 윈도우 서버 FTP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설정하기

이미지
일단 어찌어찌 FTP를 설정했는데 과정을 까먹을 것 같아서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 내가 나중에 까먹으면 찾아보려고 정리하는 의도가 크기 때문에 아마 쉽게 따라하기는 어렵겠지만 나 자신을 위해 최대한 나름 자세히 정리해 보겠다. 가장 어려웠던건 FTP 포트를 여는 작업이다. CMD에서 "service.msc" 를 실행해서 실행한 뒤 Microsoft FTP Service를 찾는다. Runnig이라고 나오지 않는다면 서버 세팅 위저드를 실행해서 FTP를 사용하게 설정해야한다. 관련 내용은 GPT 답변을 대신 적어 둔다. 서버 관리자에서 마법사를 활용한 설정 ( GPT 대화 ) AWS EC2가 윈도우 서버 이고, 윈도우에서 FTP로 접속하려고 한다면, FTP 서버를 EC2 인스턴스에서 설정해야 해. 윈도우 서버에는 기본적으로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니, IIS를 활용해 FTP 서버를 설정하고 접속할 수 있어. 아래 단계를 따라 설정해 봐. 1.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활성화 EC2 윈도우 서버에 원격 데스크톱 으로 접속. AWS 콘솔에서 퍼블릭 IP를 확인하고, RDP 파일을 사용해 접속. 서버 관리자 를 실행. 왼쪽 메뉴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 를 클릭.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 에서: 서버 역할 단계에서 **웹 서버(IIS)**를 선택. 역할 서비스 단계에서 FTP 서버 > FTP 서비스 및 FTP 확장 인증 을 선택. 설치가 완료되면 IIS 관리자 가 활성화됨. 2. FTP 사이트 설정 IIS 관리자 열기: 시작 메뉴에서 "IIS"를 검색하여 실행. FTP 사이트 추가 : 왼쪽 트리에서 서버 이름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FTP 사이트 추가 . 사이트 이름 : 원하는 이름 지정 (예: MyFTP ). 물리적 경로 : FTP로 공유할 폴더 지정 (예: C:\FTP ). IP 주소 : "All Unassigned" 또는 EC2의 프라이빗 IP. 포트 : 기본 21로...